소 요시카타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소 요시카타는 1800년에 태어나 1838년에 사망한 쓰시마 후추번의 13대 번주이다. 1812년 번주 자리에 올라, 조선과의 외교 관계를 이어갔으며, 대조선 교역 수입 감소와 화재로 인한 재정 악화, 가신 간의 파벌 싸움 등 어려움을 겪었다. 1838년 사망 후, 가신에 의해 유언이 위조되는 사건이 발생했다. 그는 조선 통신사를 접대하고, 조선과의 외교 문서를 주고받는 등 조선과의 관계에 중요한 역할을 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쓰시마 후추번 - 반쇼인
반쇼인은 1615년 소 요시나리가 초대 번주 소 요시토시를 위해 건립한 사찰로, 소 씨의 보리사이며, 역대 번주 묘소가 국가 사적으로 지정되었고, 큰 삼나무는 나가사키현 천연기념물이다. - 쓰시마 후추번 - 기유약조
기유약조는 1609년 조선과 일본이 도쿠가와 이에야스의 수교 요청에 따라 체결한 강화 조약으로, 쓰시마 후추번의 무역량과 왜관 체류 기간 등을 제한하여 일본에 제약을 가했다. - 1838년 사망 - 아델베르트 폰 샤미소
아델베르트 폰 샤미소는 프랑스 출신의 시인이자 식물학자이며, 프로이센 군 복무와 세계 일주 탐험을 거쳐 소설 《페터 슐레미흘의 기이한 이야기》를 대표작으로 남겼고, 식물학 연구와 시 창작으로 명성을 얻었다. - 1838년 사망 - 샤를모리스 드 탈레랑페리고르
샤를모리스 드 탈레랑페리고르는 프랑스 혁명, 나폴레옹 시대, 왕정 복고 시기를 거치며 활약한 정치가이자 외교관으로, 뛰어난 외교 능력으로 프랑스의 국익을 지키고 19세기와 20세기 외교의 기초를 다지는 데 기여했다. - 소씨 (쓰시마) - 덕혜옹주
덕혜옹주는 고종과 귀인 양씨 사이에서 태어나 불행한 삶을 살았던 대한제국의 옹주로, 일본 유학 후 결혼 생활 중 조현병 증세를 보였으며 해방 후 귀국하여 창덕궁에서 생을 마감했고, 그녀의 삶은 여러 작품의 소재가 되었다. - 소씨 (쓰시마) - 소 요시토시
소 요시토시는 아즈치모모야마 시대부터 에도 시대 초기의 무장으로 쓰시마 후추번의 초대 번주이며, 임진왜란과 정유재란에 참전했고, 조선과의 국교 회복에 힘써 기유약조를 체결하여 단절되었던 조선과의 관계를 복원하는 데 기여했다.
소 요시카타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시대 | 에도 시대 후기 |
출생 | 간세이 12년 7월 3일 (1800년8월 22일) |
사망 | 덴포 9년 8월 9일 (1838년9월 27일) |
묘소 | 나가사키현쓰시마시 이즈하라마치 고쿠분의 만쇼인 |
아명 | 이와치요 |
초명 | 가쓰시게 |
개명 | 요시카타 |
계명 | 게이고인 |
관직 | |
관위 | 종4위하시종, 대마도수, 좌근위소장 |
막부 | 에도 막부 |
주군 | 도쿠가와 이에나리, 이에요시 |
번 | 대마후추번주 |
가문 | |
씨족 | 소 씨 |
부모 | 아버지: 소 요시카쓰, 어머니: 무라카미 신스케 딸 |
형제 | 요시카타, 나가쓰구 가타나오, 쓰에 사젠, 오우라 호키 등 |
배우자 | 정실: 마에다 도시카네 딸 기쿠, 측실: 다다 씨, 우치노 씨, 쓰에 씨 |
자녀 | 요시아키라, 요시카즈, 히구치 데쓰시로의 아내, 시마오 마스시로, 히구치 가즈마사 |
2. 생애
간세이(寛政) 12년(1800년) 7월 3일, 제12대 번주 ・ 소 요시카쓰(宗義功)의 차남으로 태어났다. 처음에는 아버지의 이름자 한 자를 받아 가쓰시게(功茂, かつしげ)라 하였다. 형의 요절로 쓰시마 후추번의 세자(世子)가 되고, 분카(文化) 8년(1811년)부터 병든 아버지 요시카쓰를 대신해 정무를 대행하였으며, 분카 9년(1812년) 10월 2일, 아버지의 은거로 정식으로 가독(家督)을 이어받고 쓰시마 후추번의 13대 번주가 되었다. 이때 이름을 요시카타(義質)로 바꾼 것이다. 12월에는 종4위하 서위와 함께 시종(侍従) ・ 쓰시마노카미(対馬守)로 임관되었다. 이는 쓰시마 번주가 대대로 맡아오던 관직이었다.
그러나 대조선 교역 수입 감소, 분세이(文政) 6년(1823년)이나 덴포(天保) 2년(1831년)에 있었던 후추(府中)를 휩쓴 대화재로 인해 쓰시마 후추번의 재정은 악화되었다. 또한 가신단 역시 젊은 번주 아래서 주도권을 놓고 다툼을 벌이는 등, 파벌 싸움으로 혼란스러웠다. 분카 14년(1817년) 2만 석이 실질상 가증되고 덴포 8년(1837년) 12월, 역대 번주 가운데 이례적으로 사콘노에노소죠(左近衛少将)로 관위가 승진하였으나, 이듬해(1838년) 8월 9일에 요시카타는 에도(江戸)에서 사망하였다. 향년 39세. 뒤를 이은 것은 장남 ・ 요시아야(義章)였다.
요시카타 사후 가로(家老)인 스기무라 가쓰유키에 의해 요시카타의 유언이 위조되어 정쟁이 벌어지게 된다.
2. 1. 출생과 성장
간세이(寛政) 12년(1800년) 7월 3일, 제12대 번주 ・ 소 요시카쓰(宗義功)의 차남으로 태어났다. 처음에는 아버지의 이름자 한 자를 받아 가쓰시게(功茂, かつしげ)라 하였다. 형이 요절하여 쓰시마 후추번의 세자(世子)가 되고, 분카(文化) 8년(1811년)부터 병든 아버지 요시카쓰를 대신해 정무를 대행하였으며, 분카 9년(1812년) 10월 2일, 아버지의 은거로 정식으로 가독(家督)을 이어받고 쓰시마 후추번의 13대 번주가 되었다. 이때 이름을 요시카타(義質)로 바꾼 것이다. 12월에는 종4위하 서위와 함께 시종(侍従) ・ 쓰시마노카미(対馬守)로 임관되었다. 이는 쓰시마 번주가 대대로 맡아오던 관직이었다.그러나 대조선 교역 수입 감소, 분세이(文政) 6년(1823년)이나 덴포(天保) 2년(1831년)에 있었던 후추(府中)를 휩쓴 대화재로 인해 쓰시마 후추번의 재정은 악화되었다. 또한 가신단 역시 젊은 번주 아래서 주도권을 놓고 다툼을 벌이는 등, 파벌 싸움으로 혼란스러웠다. 분카 14년(1817년) 2만 석이 실질상 가증되고 덴포 8년(1837년) 12월, 역대 번주 가운데 이례적으로 사콘노에노소죠(左近衛少将)로 관위가 승진하였으나, 이듬해(1838년) 8월 9일에 요시카타는 에도(江戸)에서 사망하였다. 향년 39세. 뒤를 이은 것은 장남 ・ 요시아야(義章)였다.
요시카타 사후 가로(家老)인 스기무라 가쓰유키에 의해 요시카타의 유언이 위조되어 정쟁이 벌어지게 된다.
2. 2. 번주 즉위
간세이(寛政) 12년(1800년) 7월 3일, 제12대 번주 ・ 소 요시카쓰(宗義功)의 차남으로 태어났다. 처음에는 아버지의 이름자 한 자를 받아 가쓰시게(功茂, かつしげ)라 하였다. 형의 요절로 쓰시마 후추번의 세자(世子)가 되고, 분카(文化) 8년(1811년)부터 병든 아버지 요시카쓰를 대신해 정무를 대행하였으며, 분카 9년(1812년) 10월 2일, 아버지의 은거로 정식으로 가독(家督)을 이어받고 쓰시마 후추번의 13대 번주가 되었다. 이때 이름을 요시카타(義質)로 바꾼 것이다. 12월에는 종4위하 서위와 함께 시종(侍従) ・ 쓰시마노카미(対馬守)로 임관되었다. 이는 쓰시마 번주가 대대로 맡아오던 관직이었다.그러나 대조선 교역 수입 감소, 분세이(文政) 6년(1823년)이나 덴포(天保) 2년(1831년)에 있었던 후추(府中)를 휩쓴 대화재로 인해 쓰시마 후추번의 재정은 악화되었다. 또한 가신단 역시 젊은 번주 아래서 주도권을 놓고 다툼을 벌이는 등, 파벌 싸움으로 혼란스러웠다. 분카 14년(1817년) 2만 석이 실질상 가증되고 덴포 8년(1837년) 12월, 역대 번주 가운데 이례적으로 사콘노에노소죠(左近衛少将)로 관위가 승진하였으나, 이듬해(1838년) 8월 9일에 요시카타는 에도(江戸)에서 사망하였다. 향년 39세. 뒤를 이은 것은 장남 ・ 요시아야(義章)였다.
요시카타 사후 가로(家老)인 스기무라 가쓰유키(杉村功如)에 의해 요시카타의 유언이 위조되어 정쟁이 벌어지게 된다.
2. 3. 번정 개혁과 재정난
간세이(寛政) 12년(1800년) 7월 3일, 제12대 번주 ・ 소 요시카쓰(宗義功)의 차남으로 태어났다. 처음에는 아버지의 이름자 한 자를 받아 가쓰시게(功茂, かつしげ)라 하였다. 형의 요절로 쓰시마 후추번의 세자(世子)가 되고, 분카(文化) 8년(1811년)부터 병든 아버지를 대신해 정무를 대행하였으며, 분카(文化) 9년(1812년) 10월 2일, 아버지의 은거로 정식으로 가독(家督)을 이어받고 쓰시마 후추번의 13대 번주가 되었다. 이때 이름을 요시카타(義質)로 바꾸었다. 12월에는 종4위하 서위와 함께 시종(侍従) ・ 쓰시마노카미(対馬守)로 임관되었다. 이는 쓰시마 번주가 대대로 맡아오던 관직이었다.그러나 대조선 교역 수입 감소, 분세이(文政) 6년(1823년)이나 덴포(天保) 2년(1831년)에 있었던 후추(府中)를 휩쓴 대화재로 인해 쓰시마 후추번의 재정은 악화되었다. 또한 가신단 역시 젊은 번주 아래서 주도권을 놓고 다툼을 벌이는 등, 파벌 싸움으로 혼란스러웠다. 분카 14년(1817년) 2만 석이 실질상 가증되고 덴포 8년(1837년) 12월, 역대 번주 가운데 이례적으로 사콘노에노소죠(左近衛少将)로 관위가 승진하였으나, 이듬해(1838년) 8월 9일에 요시카타는 에도(江戸)에서 사망하였다. 향년 39세. 뒤를 이은 것은 장남 ・ 요시아야(義章)였다.
요시카타 사후 가로(家老)인 스기무라 가쓰유키(杉村功如)에 의해 요시카타의 유언이 위조되어 정쟁이 벌어지게 된다.
2. 4. 말년
간세이(寛政) 12년(1800년) 7월 3일, 제12대 번주 ・ 소 요시카쓰(宗義功)의 차남으로 태어났다. 처음에는 아버지의 이름자 한 자를 받아 가쓰시게(功茂, かつしげ)라 하였다. 형의 요절로 쓰시마 후추번의 세자(世子)가 되고, 분카(文化) 8년(1811년)부터 병든 아버지 요시카쓰를 대신해 정무를 대행하였으며, 분카(文化) 9년(1812년) 10월 2일, 아버지의 은거로 정식으로 가독(家督)을 이어받고 쓰시마 후추번의 13대 번주가 되었다. 이때 이름을 요시카타(義質)로 바꾼 것이다. 12월에는 종4위하 서위와 함께 시종(侍従) ・ 쓰시마노카미(対馬守)로 임관되었다. 이는 쓰시마 번주가 대대로 맡아오던 관직이었다.그러나 대조선 교역 수입 감소, 분세이(文政) 6년(1823년)이나 덴포(天保) 2년(1831년)에 있었던 후추(府中)를 휩쓴 대화재로 인해 쓰시마 후추번의 재정은 악화되었다. 또한 가신단 역시 젊은 번주 아래서 주도권을 놓고 다툼을 벌이는 등, 파벌 싸움으로 혼란스러웠다. 덴포 8년(1837년) 12월, 역대 번주 가운데 이례적으로 사콘노에노소죠(左近衛少将)로 관위가 승진하였으나, 이듬해(1838년) 8월 9일에 요시카타는 에도(江戸)에서 사망하였다. 향년 39세. 뒤를 이은 것은 장남 ・ 요시아야(義章)였다.
요시카타 사후 가로(家老)인 스기무라 가쓰유키(杉村功如)에 의해 요시카타의 유언이 위조되어 정쟁이 벌어지게 된다.
2. 5. 사후
소 요시카타가 사망한 뒤, 가로(家老)인 스기무라 가쓰유키에 의해 요시카타의 유언이 위조되어 정쟁이 벌어졌다.3. 조선과의 관계
요시카타는 분카 8년(1811년)부터 병든 아버지 요시카쓰를 대신해 정무를 대행하였으며, 조선 통신사를 쓰시마에서 접대하는 임무도 아버지 요시카쓰를 대신해서 행하였다. 조선의 《변례집요》(邊例集要) 제1권 별차왜(別差倭)조에는 요시카쓰가 은거한 이듬해인 순조 13년(1813년) 5월과 7월에 쓰시마 도주의 퇴휴(退休)를 알리는 고지차왜(告知差倭) 및 신임 도주의 승습을 알리는 고경대차왜(告慶大差倭)가 두 달 간격으로 조선으로 파견되었고, 동래부의 요청으로 경접위관 및 차비역관이 파견되었다. 《동문휘고》(同文彙考) 부편속(附編續) 고경(告慶)조에는 조선의 예조참판 및 예조 참의와 동래부사 및 부산진첨사에게 보내는 쓰시마측의 서계와 답서가 기록되어 있다.
순조 22년(1822년) 요시카타의 아들이 태어난 것에 대해 쓰시마측은 조선으로 차왜를 보내 이를 고지하였으며, 조선 조정은 당상 현식(玄烒)과 당하 김동륜(金東倫)을 보내어 문위하고 아울러 치하하였다. 참근교대로 에도를 방문했던 요시카타가 귀국한 것에 대해서 순조 29년(1829년) 당상 최석(崔昔)과 당하 박명철(朴命澈)을 보냈으며, 헌종 4년(1838년) 도주 요시카타와 그의 아들로써 에도에 머무르던 요시아야가 휴가를 얻어 아버지와 함께 쓰시마 섬으로 돌아온 것이 조선에 보고되어, 조선 조정은 당상 이의서(李宜敍)와 당하 최술회(崔述會)를 보내어 치하하고 아울러 문위하도록 하였다.[1]
소 요시카타가 사망하고 5년 뒤 조선의 《경상좌수영계록》(慶尙左水營啓錄)에는 헌종 9년(1843년) 11월 18일 조선측에 관백(쇼군)의 사망과 쓰시마 도주 요시카타의 사망에 대한 조선측의 조위, 신임 도주의 승습 및 쓰시마 귀환을 문위하는 문서가 부산진 첨사 - 경상좌수사를 거쳐 조선의 승정원으로 전달되었다고 되어 있다.
3. 1. 조선 통신사 접대
요시카타는 분카 8년(1811년)부터 병든 아버지 요시카쓰를 대신해 정무를 대행하였으며, 조선 통신사를 쓰시마에서 접대하는 임무도 맡았다.조선의 《변례집요》(邊例集要) 제1권 별차왜(別差倭)조에는 요시카쓰가 은거한 이듬해인 순조 13년(1813년) 5월과 7월에 쓰시마 도주의 퇴휴(退休)를 알리는 고지차왜(告知差倭) 및 신임 도주의 승습을 알리는 고경대차왜(告慶大差倭)가 조선으로 파견되었고, 동래부의 요청으로 경접위관 및 차비역관이 파견되었다는 기록이 있다. 《동문휘고》(同文彙考) 부편속(附編續) 고경(告慶)조에는 조선의 예조참판 및 예조 참의와 동래부사 및 부산진첨사에게 보내는 쓰시마측의 서계와 답서가 기록되어 있다.[1]
순조 22년(1822년) 요시카타의 아들이 태어난 것에 대해 쓰시마측은 조선으로 차왜를 보내 이를 알렸고, 조선 조정은 당상 현식(玄烒)과 당하 김동륜(金東倫)을 보내 문위하고 치하하였다. 참근교대로 에도를 방문했던 요시카타가 귀국한 것에 대해서는 순조 29년(1829년) 당상 최석(崔昔)과 당하 박명철(朴命澈)을 보냈다.[1]
헌종 4년(1838년) 도주 요시카타와 그의 아들 요시아야가 휴가를 얻어 함께 쓰시마 섬으로 돌아온 것이 조선에 보고되어, 조선 조정은 당상 이의서(李宜敍)와 당하 최술회(崔述會)를 보내 치하하고 문위하도록 하였다.[1]
소 요시카타가 사망하고 5년 뒤 조선의 《경상좌수영계록》(慶尙左水營啓錄)에는 헌종 9년(1843년) 11월 18일 조선측에 관백(쇼군)의 사망과 쓰시마 도주 요시카타의 사망에 대한 조선측의 조위, 신임 도주의 승습 및 쓰시마 귀환을 문위하는 문서가 부산진 첨사 - 경상좌수사를 거쳐 조선의 승정원으로 전달되었다고 기록되어 있다.
3. 2. 조선과의 외교 문서
분카 8년(1811년)부터 병든 아버지 요시카쓰를 대신해 정무를 대행하였으며, 조선통신사를 쓰시마에서 접대하는 임무도 아버지 요시카쓰를 대신해서 행하였다. 조선의 《변례집요》(邊例集要) 제1권 별차왜(別差倭)조에는 요시카쓰가 은거한 이듬해인 순조 13년(1813년) 5월과 7월에 쓰시마 도주의 퇴휴(退休)를 알리는 고지차왜(告知差倭) 및 신임 도주의 승습을 알리는 고경대차왜(告慶大差倭)가 두 달 간격으로 조선으로 파견되었고, 동래부의 요청으로 경접위관 및 차비역관이 파견되었다. 《동문휘고》(同文彙考) 부편속(附編續) 고경(告慶)조에는 조선의 예조참판 및 예조 참의와 동래부사 및 부산진첨사에게 보내는 쓰시마측의 서계와 답서가 기록되어 있다.순조 22년(1822년) 요시카타의 아들이 태어난 것에 대해 쓰시마측은 조선으로 차왜를 보내 이를 고지하였으며, 조선 조정은 당상 현식(玄烒)과 당하 김동륜(金東倫)을 보내어 문위하고 아울러 치하하였다. 참근교대로 에도를 방문했던 요시카타가 귀국한 것에 대해서 순조 29년(1829년) 당상 최석(崔昔)과 당하 박명철(朴命澈)을 보냈으며, 헌종 4년(1838년) 도주 요시카타와 그의 아들로써 에도에 머무르던 요시아야가 휴가를 얻어 아버지와 함께 쓰시마 섬으로 돌아온 것이 조선에 보고되어, 조선 조정은 당상 이의서(李宜敍)와 당하 최술회(崔述會)를 보내어 치하하고 아울러 문위하도록 하였다.[1]
소 요시카타가 사망하고 5년 뒤 조선의 《경상좌수영계록》(慶尙左水營啓錄)에는 헌종 9년(1843년) 11월 18일 조선측에 관백(쇼군)의 사망과 쓰시마 도주 요시카타의 사망에 대한 조선측의 조위, 신임 도주의 승습 및 쓰시마 귀환을 문위하는 문서가 부산진 첨사 - 경상좌수사를 거쳐 조선의 승정원으로 전달되었다고 되어 있다.
4. 가계
소 요시노리(1773-1813)의 아들이며, 어머니는 무라카미 신스케의 딸이다. 정실은 간쥬인 마에다 도시카타의 딸 기쿠이다. 장남은 소 요시후미(1818-1842)이다. 측실은 다다 분조의 딸 겐이며, 차남은 소 요시카즈(1818-1890)로 초손 지쓰나오, 히구치 노부히데?, 소 요시후미의 양자이다. 다른 측실로는 우치노 무자에몬의 딸과 쓰에 산고의 딸이 있다. 생모 불명의 자녀로는 히구치 데쓰시로의 처, 삼남 시마 오마키, 사남 히구치 카즈리가 있다.
5. 이름자를 받은 인물
- 나가쓰구 가타나오(暢孫質直) - 소 요시카타의 친동생으로, '가타나오'라는 이름은 '다다나오'로도 읽는다.
- 소 '''질'''직(ながつぐ かたなお/ただなお, 실제 동생)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